오늘은 국호 "대한민국"의 실증적 자료를 보겠습니다.
대한민국 헌법 전문을 보면
"悠久한 歷史와 傳統에 빛나는 우리 大韓國民은 3·1運動으로 建立된 大韓民國臨時政府의 法統과 ...... "
이므로 우리나라 국호는 대한민국이다.
그 유래를 보면 1897년 2월 고종께서 러시아 대사관에서 환궁한 후 국왕에 대한 황제의 칭호 사용과 새로운 연호의 제정을 기하고, 국호를 개정함으로써 추락된 국가의 이미지를 개선하고, 국운의 신기원을 마련해야 한다는 여론에 따라 정부는 의정부 의정대신 심순택의 주청으로 1897년 8월 14일 광무라는 연호를 실시하도록 하여 8월 17일부터 사용하고, 1987년 12월 황제즉위식을 올림으로써 「대한제국」이 성립되었다.
(일부는 삼한(三韓)의 한(韓)에서 대한(大韓)으로 하게되었다는 설도 있음)
그러나, 일본은 1905년 11월 17일 을사조약을 체결하여 외교권 강탈, 1910년 8월 22일 한일병합조약 조인(?), 동월 8월 29일(국치일) 병합조약 반포로 대한제국은 멸망하였다.
그후, 3·1운동을 거쳐 중국 상해를 중심으로 한 독립운동지사들은 임시정부의 수립을 계획하게 되었고, 1919년 4월 10일부터 상해에 모인 각 지방 출신의 대표자들을 의원으로 하는 임시의정원을 구성·회의를 열고 국호·관제·정부관원 및 임시헌장 등을 의결하여 4월 13일 한성임시정부와 통합하여 「대한민국」임시정부를 수립·선포함으로써 역사적인 대한민국의 탄생을 보게 되었다.(임시의정원에서 '대한민국'이란 명칭을 제안한 사람이 신석우(申錫雨. 1894-1953)라는 게 지금까지의 통설임).
이와 같이 우리는 「韓」에 그 어떤 우리민족의 혼·정신이 스며 있기 때문에 우리의 선조는 「韓」을 우리의 국호로 사용하기로 한것입니다.
따라서, 가까이는 임시의정원의 회의록(토의자료)에서 대한제국의 결정과정이 수록된 자료와 멀리는 三韓시대에 「韓」을 사용하게된 과정, 나아가 그 실증적 「韓」의 의미가 과연 우리 민족의 혼·정신을 대변하고 우리 모두가 사상적 동일체 정신으로 승화·발전시킬 수 있는지를 생각하므로 지금 우리가 회자하는 "세계화"의 시발점이 되리라 봅니다.
대한민국 헌법 전문을 보면
"悠久한 歷史와 傳統에 빛나는 우리 大韓國民은 3·1運動으로 建立된 大韓民國臨時政府의 法統과 ...... "
이므로 우리나라 국호는 대한민국이다.
그 유래를 보면 1897년 2월 고종께서 러시아 대사관에서 환궁한 후 국왕에 대한 황제의 칭호 사용과 새로운 연호의 제정을 기하고, 국호를 개정함으로써 추락된 국가의 이미지를 개선하고, 국운의 신기원을 마련해야 한다는 여론에 따라 정부는 의정부 의정대신 심순택의 주청으로 1897년 8월 14일 광무라는 연호를 실시하도록 하여 8월 17일부터 사용하고, 1987년 12월 황제즉위식을 올림으로써 「대한제국」이 성립되었다.
(일부는 삼한(三韓)의 한(韓)에서 대한(大韓)으로 하게되었다는 설도 있음)
그러나, 일본은 1905년 11월 17일 을사조약을 체결하여 외교권 강탈, 1910년 8월 22일 한일병합조약 조인(?), 동월 8월 29일(국치일) 병합조약 반포로 대한제국은 멸망하였다.
그후, 3·1운동을 거쳐 중국 상해를 중심으로 한 독립운동지사들은 임시정부의 수립을 계획하게 되었고, 1919년 4월 10일부터 상해에 모인 각 지방 출신의 대표자들을 의원으로 하는 임시의정원을 구성·회의를 열고 국호·관제·정부관원 및 임시헌장 등을 의결하여 4월 13일 한성임시정부와 통합하여 「대한민국」임시정부를 수립·선포함으로써 역사적인 대한민국의 탄생을 보게 되었다.(임시의정원에서 '대한민국'이란 명칭을 제안한 사람이 신석우(申錫雨. 1894-1953)라는 게 지금까지의 통설임).
이와 같이 우리는 「韓」에 그 어떤 우리민족의 혼·정신이 스며 있기 때문에 우리의 선조는 「韓」을 우리의 국호로 사용하기로 한것입니다.
따라서, 가까이는 임시의정원의 회의록(토의자료)에서 대한제국의 결정과정이 수록된 자료와 멀리는 三韓시대에 「韓」을 사용하게된 과정, 나아가 그 실증적 「韓」의 의미가 과연 우리 민족의 혼·정신을 대변하고 우리 모두가 사상적 동일체 정신으로 승화·발전시킬 수 있는지를 생각하므로 지금 우리가 회자하는 "세계화"의 시발점이 되리라 봅니다.
'국호에 대한 우리의 의견'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국가상징의 개념 (0) | 2003.02.04 |
---|---|
월드컵으로 나타난 국호? (0) | 2003.01.31 |
우리 나라 (0) | 2003.01.06 |
고구려 (0) | 2002.11.15 |
한반도기와 독도 (0) | 2002.10.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