삶이란

3세대와 4세대 실비보험의 차이 -챗지피티 분석

나는 새 2025. 2. 24. 03:52

3세대 보험이 24년, 25년 2년 연속 30% 가까이 인상되는 보험료 인상율에 4세대로 갈아 탈까 하여 챗지피티에 차이점을 물어 봤다.

3세대 실비보험(2017년 4월~2021년 6월)과 4세대 실비보험(2021년 7월 이후)의 주요 차이점은 보험료 부담 방식, 자기부담금 비율, 갱신 주기, 보험료 인상률 등입니다.

1. 자기부담금 차이

3세대 실비보험:

통원의료비(외래·약제) 자기부담금: 30% (정액형)

입원의료비 자기부담금: 10%


4세대 실비보험:

통원의료비(외래·약제) 자기부담금: 30% (단, 비급여 항목은 50%)

입원의료비 자기부담금: 20%
(단, 비급여 항목은 30%)

2. 보험료 차이 및 갱신 주기

3세대 실비보험: 보험료 변동이 크며, 15년마다 재가입 가능

4세대 실비보험: 보험료 인상 요인이 줄었으며, 5년마다 재가입


3. 비급여 의료비 보장 차이

3세대 실비보험: 비급여 항목(도수치료, 비급여 주사제, 비급여 MRI 등) 보장이 포함됨

4세대 실비보험: 비급여 의료비 보장이 기본형과 특약형으로 나뉘며, 비급여 사용이 많을 경우 보험료 할증(최대 4배)


4. 도덕적 해이 방지 장치

3세대 실비보험: 의료 이용 횟수와 관계없이 보험료 동일

4세대 실비보험: 1년간 비급여 사용이 많으면 다음 해


결론

4세대 실비보험은 보험료 부담을 줄이고 도덕적 해이를 방지하려는 목적으로 개편되었습니다. 하지만 자기부담금이 늘어나고, 비급여 항목 보장이 줄어드는 단점도 있습니다. 기존 3세대 실비보험 가입자는 변경하지 않는 것이 유리할 수 있으며, 신규 가입자는 본인의 의료 이용 패턴을 고려하여 선택하는 것이 좋습니다.


4세대 실비보험(2021년 7월 이후 가입) 급여와 비급여 보장내용을 물어 본 결과

1. 급여 의료비 보장 (건강보험이 적용되는 항목)

입원: 80% 보장 (본인부담 20%)
통원: 30% 본인 부담
의원: 최대 1만 원 보장
병원: 최대 1.5만 원 보장
종합병원: 최대 2만 원 보장

2. 비급여 의료비 보장 (선택 특약 가입 시)

비급여 항목은 특약을 통해 가입 가능하며, 본인 부담금이 높고 보험료 할증이 적용될 수 있음.
비급여 도수치료, 증식치료: 연 350만 원 한도
비급여 주사제: 연 250만 원 한도
비급여 MRI·MRA: 연 300만 원 한도

@급여에서 통원의 경우 70% 보장이 아니라
의원: 최대 1만 원 보장
병원: 최대 1.5만 원 보장
종합병원: 최대 2만 원 보장 이라고?

잘못된 것 아냐?

설계사와 상담과 보험료 인상률을 좀더 지켜 보다 지속적으로 인상률이 높으면 심각하게 고려해야겄다.

'삶이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익산 함라 3부자  (2) 2024.10.31
Nothing to see here  (0) 2024.08.27
꿈(?) 이루어지다  (0) 2023.11.30
드라마 킹더랜드로 보는 경영  (0) 2023.07.25
내 생애 최고의 룸 점심  (0) 2023.06.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