삶이란

<쾌도 홍길동>이 이토록 소중하게 여겨지는 이유

지성유인식 2008. 3. 15. 02:02
 

<쾌도 홍길동>은 '퓨전 사극'이라는 좋은 핑계(!)를 내세워 가장 대중적이고 상업적인 이야기를 펼치지만, 그 안에 지금까지 그 어떤 드라마나 영화도 해내지 못했던 진취적인 시도를 하고 있다. 그것은 이른바 88만원 세대라 불리는 지금, 우리의 젊은 세대들의 기성질서에 대한 '저항'은 물론 세대 내 '연대'를 다루고 있다는 점이다. (물론 이 연대는 곧 깨질 수밖에 없지만.) <쾌도 홍길동>에서 개인적으로 가장 뭉클한 지점들, 가장 빛이 나는 장면들은 홍길동이 아버지 홍판서 대감과, 창휘가 당대 왕이자 자신의 이복형인 광휘와 정면으로 대결하는 장면들이며, 10회가 넘도록서로 적으로 대립하거나 서로의 이익을 위해 '거래'를 하며 할 수 없이 협업했던 길동과 창휘가 15회에 이르러 서로를 인정하며 우정을 맺는 장면들이다. (이 미니시리즈는 총 24부작으로 기획되었다.) 16회에 이르면 길동과 창휘는 서로 친구와 동지로서 협동하며, 16회의 마지막 장면은 길동에게 향해진 화살을 창휘가 대신 몸으로 막는 장면으로 마무리된다.


홍판서와 광휘는 각각 실질적 / 명목적으로 최고의 권력자들인 만큼, 길동과 창휘가 저항하는 대상은 단지 사적인 아버지와 형이 아니라 당대 강고하기 짝이 없는 제도이며 기성질서이다. 그런데 창휘의 저항은 기성질서의 근본적 모순에 대한 것이 아니라, 있는 제도에서 부패한 사람을 대신하려는 것이며, 형에 대한 그 저항은 결국 선왕, 즉 아버지의 질서를 복권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즉, 퇴행이며 반동이란 얘기다. 창휘가 지금의 노선을 고집하는 한, 아마도 앞으로 길동의 발목을 가장 강력하게 붙잡는 존재는 아버지도 왕도 아닌 창휘가 될 것이다. 그 자신 아직 인식하지는 못하고 있으나 혁명으로 나아갈 수밖에 없는 길동은 창휘와 일시적으로 접점은 이룰지언정 결국 갈라설 수밖에 없다. 민중이 새로운 왕의 후보 창휘에겐 별 관심이 없지만 부자들의 재물을 털어 나눠주는 홍길동은 초인적인 영웅으로 여기는 이유도 이 때문이다.


사적으로는, 창휘와 길동, 이녹 모두 너무나 안쓰러우면서도 예쁜 만큼, 길동은 결국 새로운 왕이라는 것 역시 한계가 있음을 깨닫고 근본적 혁명을 시도하고, 창휘 역시 기존 질서 자체에까지 의문을 가지고 결국 적통대군의 자리마저 버리는 것이 내가 바라는 진행방향이다. 아마도 길동인 내 바람대로 갈 가능성이 커 보이지만, 창휘의 경우 내 바람은 말그대로 '바람'일 뿐, 가능성은 거의 없어 보인다. 길동과 창휘가 이녹을 둘러싼 삼각관계의 연적 관계이기도 한 만큼, 이런 상황에서 작가들은 결국 앞으로 전진하는 영웅과 퇴행하고 꺾이는 악당의 대립모드로 몰고가는 걸 좋아하기 마련이다. 나는 다만 연적인 이 두 사람이 서로를 인정하고 잠시나마 연대를 이루었다는 사실에서 지극히 짧은 유통기한의 기쁨을 느낄 뿐이다.  


<쾌도 홍길동>의 시기는 명확하지 않다. 원작이 16세기 초를 배경으로 했던 것과 달리, 드라마는 왕인 광휘와 그의 자리를 넘보는 적통대군 창휘는 각각 광해군과 영창대군을 모델로 했고 이는 이름에서도 그대로 드러나지만, 광휘에게선 연산군과 영조의 그림자도 살짝 함께 엿보인다. 청나라가 이미 조선에 절대적 영향을 끼치는 대국으로 자리잡았고 저자거리에도 청나라 물품을 파는 가게가 입점해있다는 설정을 보면 명과 청 사이에서 등거리외교를 했던 광해군 치세보다는 조금 늦은 시기, 그러니까 18세기 경의 조선을 상당히 참조했다고 짐작할 수 있다. 이 때라면 색안경과 불꽃놀이용 폭죽, 천축국에서 유래한 코브라와 배꼽춤(!), 색목인의 언어(영어), 골프의 변형(혹은 개인놀이화된 격구) 등이 한양땅에 등장한다 해도 그렇게까지 이상하게 느껴지지 않는다. 게다가 거침없이 전개되는 이 드라마의 스토리가 어느 순간 그러한 것들을 '그 시대에 정말로 그랬으려니' 하는 이상한 착시의 설득력을 제공한다.


퓨전 사극이라는 측면, 그리고 혁명을 다루고 있고 서로 입장이 다른 주요 인물들의 3각관계가 극 중심에 등장한다는 점에서 <쾌도 홍길동>은 여러 모로 <다모>를 떠올리게 한다. 과연 2003년에 방영되었던 <다모>가 드라마계와 시청자에게 남긴 영향은 매우 커서, 이제 우리는 사극이라 했을 때 무조건 엄숙하고 딱딱한 형식이나, 역사적 고증에 충실한 소도구와 의상에서 벗어나서 조선을 생각할 수 있게 되었다. 불과 2, 3백년 전 역사가 '판타지'의 공간으로 등장할 수 있고, 이런 식의 사극 판타지는 결국 지금의 상황과 현실을 조금 에둘러 풍자하는 '우화'로서 기능할 수 있게 된 것이다. <쾌도 홍길동>은 이 점을 십분 살려 대부업 광고나 FTA, 새 정부의 영어정책 등을 신랄하게 풍자하는 장면들을 집어넣고, 이를 단순한 일회성 코믹 장면이 아니라 드라마의 스토리와 에피소드에 긴밀하게 엮어넣는 시도를 했다. 대부업 풍자는 9회부터 12회까지 심청 이야기의 변주와 함께 이루어졌으며(심청의 이야기가 좀더 현실성 있게 묘사된다), 16회에 삽입된 청나라 사신과의 아편 전쟁은 FTA를 비롯해 미국에 종속된 한국의 정치/외교관계와 새 정부의 영어정책을 비꼰다.


하지만 <쾌도 홍길동>이 <다모>와 명확하게 선을 긋는 지점은, 바로 <다모>가 실패했던 바로 그 한계지점들에서다. 어깨에 힘을 잔뜩 준 채 소영웅주의에 입각해 혁명을 논했던 <다모>는 결국 인간을, 그리고 사랑을 도구적 입장에서 다뤘고, 사람의 진심을, 사랑하는 마음을 그렇게 착취하고 결국 퇴행해버림으로써 방영 초기의 팬 일부에게 극렬한 배신감을 안겨줬다. <쾌도 홍길동>에서는 여성이, 사랑이 오히려 혁명을 깨우는 데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폼을 오히려 부담스러워 하는 이들은 대의를 위해 작은 이들의 목숨을 기꺼이 희생하는 방향으로 나아가는 게 아니라, 그런 이들의 목숨이야말로 가장 소중한 것을 배워나가는 쪽으로 성장해 간다. '알 게 뭐야'란 말을 입에 달고살던 홍길동은 사람 하나하나의 작은 마음과 상처까지 배려할 줄 아는 인간, 나아가 힘없는 사람들의 아픔과 고통을 헤아릴 줄 아는 인간이 돼가고 있고, 소위 '대의'를 위해 피도 눈물도 없는 냉혈한 노릇을 해왔던 창휘는 사람들의 아픈 비명소리가 양심을 아프게 함을 깨닫고 그 양심에 따라 행동하는 길을 선택하고 있다. 이를 가능하게 해준 것이 바로 이녹이란 존재다. 그리고 길동과 창휘는 이녹을 사랑하면 사랑하게 될수록 선택의 기로에서 옳은 길을 선택하게 된다.


나아가 <쾌도 홍길동>은 단순히 멋진 영웅 한 명의 활약이 아니라, 그가 민중과 소통하고 그 자신이 바로 민중 중 한 사람임을 선언하는 데에까지 나아간다. 홍길동이 민중을 깨우치고 민중을 위해 희생한 것이 아니라, 민중이 '의적' 홍길동을 만들어낸 것이다. 권력자에겐 칼과 창이 있고, 민중에겐 '말'이 있다. 태초에 말이 있어 그 말에 의해 세상이 만들어졌다는 창세기와 요한복음의 구절은, '이야기를 만들어내는' 창작의 힘의 신비와 비밀을 드러내는 구절이기도 하다. 초인으로 각색되는 홍길동, 저자거리에서 약장수에 의해 얘기되는 홍길동. 영웅이 신격화되고 다시 탈신격화되는 과정을 고스란히 보여주는 이 드라마는 이 창작의 힘을 메타적으로 고찰하고 활용하며 여기에 유쾌한 농담을 곁들인다. 웃음 와중에도 다시 한번 돌아볼 가치가 충분한 방식. <쾌도 홍길동>은 바로 이야기의 힘을 믿고, 이것을 전면에 배치하는 드라마다. 그것도 창작자 개인이 아닌, '집단창작'의 힘과 저력을 탐구하는 드라마다. 사실 내게 이 드라마가 이토록 특별한 것도 바로 이 이유가 가장 크다.


앞으로 8회분이 남은 만큼 <다모>가 그랬듯 기대를 배반하며 퇴행으로 치달을 가능성도 없지는 않겠지만, 지금껏 보여준 이야기만으로도 <쾌도 홍길동>은 기존 그 어떤 드라마도 해내지 못했던 영역의 이야기를 특별한 방식을 통해 보여주었다. 달달한 싸구려 당의정으로 말초적 재미를 만족시켜 주면서도 그 안에 올바르고 건강한 이야기를 오롯이 담아내는 이 능력, 이거야말로 내가 그간 드라마나 영화에 그토록 기대해왔던 것들이다.


진심으로 홍자매 파이팅!을 외칠 수밖에 없다.


영진공 노바리



Hogildong.jpg
0.06MB