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산포럼 제1059호
송 혁 기 (고려대 한문학과 교수)
겨드랑이에서 지독한 냄새가 나는 사람이 있었다. 그 때문에 정상적인 사회 활동을 할 수 없었고 집안 식구들마저 견디지 못할 정도였다. 남들이 이토록 힘들어하니 본인도 괴로울 수밖에 없어서, 집을 떠나 방랑길에 올랐다. 그런데 길에서 우연히 만난 한 나그네가 그의 곁을 떠나지 않고 동행하며 번번이 술과 밥을 대접하는 것이었다. 하루 이틀도 아니고 오랜 시간을 그렇게 하니 하도 이상해서 물어 보았다.
“내 몸에서 나는 나쁜 냄새가 하도 심해서 주변 사람들이 잠시도 견디기 힘들어하지요. 그런데 당신은 나를 버리기는커녕 오히려 이렇게 잘 대접해 주니 무슨 까닭인지요? 나쁜 냄새마저 잊을 만큼 좋은 게 있는 건가요?”
그러자 그 나그네가 웃으며 말했다. “바로 그 냄새를 제가 즐기기 때문에 당신을 좋아하는 것이지요. 이 냄새가 없었다면 당신과 함께할 이유가 어디 있겠소?”
악취를 즐기다니, 이상한 이야기가 아닐 수 없다. 하긴 『장자』에 이런 이야기가 나오기도 한다. 목에 크고 흉측한 혹이 달린 사람이 제나라 위공에게 유세를 했는데, 위공이 그를 하도 좋아해서 혹이 없는 보통사람을 보면 오히려 목이 너무 야위어 보일 정도였다고 한다. 나쁜 냄새를 좋아하는 것이나 흉측한 혹을 좋아하는 것 모두 이해가 안 되기는 마찬가지다.
조선 후기의 학자 유희(柳僖, 1773~1837)가 영남 지방으로 유람을 떠나는 친구 박기순(朴基淳, 1776~1806)을 전송하며 써준 글에 나오는 이야기다. 자신은 흉측한 혹이나 지독한 냄새보다 더 사람들의 취향을 거스르는 사람이라서 모두에게 외면받는 신세인데, 이 친구만은 그런 자신을 아름답고 향기로운 지초와 난초처럼 좋아해 준다는 말이 이어진다. 먼 길 떠나는 친구에게 고마움을 표하는 겸손한 덕담으로 이해할 수도 있겠지만, 그렇게 넘기고 말기에는 표현이 심상치 않다.
지독한 악취보다 더 심하게 버림받은 사람
유희는 경학과 역사는 물론 언어, 한글, 농업, 의약, 천문, 수리, 음률 등 다양한 분야에 대한 방대한 저작을 남긴 독특한 학자였다. 뛰어난 재능을 지녔음에도 소론계 집안 출신으로서 당파로 인한 사건과 비방에 휘말려 과거를 통한 진출의 뜻을 일찍 꺾을 수밖에 없었다. 젊은 시절 세상에 대한 분노와 원망으로 가득 찼던 유희는 농사와 의술로 생계를 이어가며 남들이 관심 가지지 않는 학문 분야를 집요하게 파고들었다. 친구 박기순이 스스로 지은 호는 자소광부(自笑狂夫)다. 남들이 비웃거나 미친 사람 취급을 하더라도 아랑곳하지 않고 자신만이 추구하는 길을 자유롭게 가겠노라는 뜻을 담은 것이다.
신체의 질병을 들어 말한 것이 오늘의 관점에서 불편하게 느껴지기는 하지만, 유희가 강조하고자 한 것은 그만큼 남들과 전혀 다른 길을 가고 있다는 자의식이다. 소나 말의 눈에는 천하일색 서시(西施)라 해도 아름답게 보일 리가 없다. 누구나 당연하게 생각하는 아름다움과 추함의 기준을 벗어나는 지점, 그것을 좋아하는 사람이 있다는 사실 자체를 도무지 이해할 수 없는 그 자리에서 다시 생각해 볼 것을 요구하는 말이다.
이것이 진정 내가 바라는 것인가
주자학만이 학문의 본령이라 여기며 다른 분야를 무시하거나 과거시험을 통한 출세에 집안의 사활을 걸던 조선시대와 비교할 때, 오늘 우리 사회는 과연 개인의 취향이 존중받을 만큼 충분히 자유로운가? 청년들이 의대와 로스쿨로 쏠리는 현상은 갈수록 더 심화되고 있다. 트렌드라는 이름으로 특정 분야에만 스포트라이트가 집중되고 그 흐름에 올라타지 못하면 낙오자가 되는 것처럼 절망하는 분위기다. 앞이 안 보이는 풍랑에 표류하며 나뭇조각 하나라도 잡아보려 발버둥치는 이들에게 위험을 감수하고라도 하고 싶은 일을 찾아가라는 조언은 무책임하게 들릴 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다시 묻지 않을 수 없다. 그것이 진정 자신이 바라는 것인지.
이제 영남으로 떠나는 친구에게 유희는 마지막으로 이렇게 당부한다. “이곳과 달리 질박한 옛 풍속이 남아있는 그곳에서 훌륭한 인물을 만나거든 물어봐 주시게. 우리 고을에 흉측한 혹이나 지독한 악취보다 더 심하게 버림받은 이가 있는데 그를 치료할 약은 없겠느냐고.” 이 외로운 길을 이해하고 함께 세상을 거슬러 나아갈 동지를 멀리서라도 찾고 싶은 간절함이 느껴진다. 누군가에게는 악취가 향기로, 추함이 아름다움으로 여겨진다면 무용지물로 버려진 것에서 의외의 유용함이 발견될 수도 있다. 세상은 오히려 트렌드 바깥에서 자신만의 길을 가는 이들로 인해서 진보되어 왔다.
'삶이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의미없이 소멸된 백만분의 일만큼 영혼 (0) | 2021.08.01 |
---|---|
지금 최애 드라마-악마판사 (0) | 2021.07.26 |
오늘 (0) | 2021.02.28 |
2021년의 아침 (0) | 2021.01.01 |
다사 다난 했던 2020 경자년 (0) | 2020.12.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