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민국을 이끌어가는 민초

행복, 스트레스 해소 필요

나는 새 2023. 6. 22. 07:38

캐나다 퀘백시에는 남북으로 길게 뻗은 계곡이 있다.

이 계곡에는 한 가지 특이한 게 있는데,
바로 서쪽 비탈에는 소나무나 측백나무,
당광나무 등 여러 종류의 나무가 자라는데 비해 동쪽 비탈에는 온통 히말라야 삼나무 일색이라는 점이다.

계곡은 사람들의 관심을 끌었지만
이런 기이한 절경이 탄생하게 된 이유를 아는
이는 아무도 없었다.

그런데 한 부부가 그 비밀을 밝혀냈다.

그 해 겨울, 파경 직전이던 부부는 서로 좋은 감정으로 헤어지기 위해 마지막 이별여행을 떠났다.

마침 그들이 도착했을 때 계곡에는 엄청난 눈이 내리고 있었다.

펑펑 쏟아지는 눈을 가만히 지켜보던 부부는 바람의 방향 때문에 동쪽 비탈에는
서쪽 비탈보다 많은 눈이 촘촘하게 쌓인다는 사실을 깨달았다.

그 탓에 동편의 히말라야 삼나무 가지 위에는
눈이 금세 소복하게 쌓였다.

하지만 아무리 눈이 쌓여도
가지가 부러지는 일은 없었다.

어느 정도 쌓이면 탄성 있는 가지가 아래로 축 휘어지면서 눈을 떨어뜨렸기 때문이다.

눈이 쌓이고,
가지가 아래로 축 휘어지고,
눈이 떨어지는 과정이 반복된 덕에
삼나무는 어느 한 군데 부러진 곳 없이
온전한 모습을 유지할 수 있었다.

하지만 다른 나무들,
예를 들어 소나무 같은 경우는 이러한 '재주'가 없어서 눈이 두껍게 쌓이면
가지가 견디지 못하고 툭 부러져버렸다.

그 모습을 보던 아내가 남편에게 말했다.

"아마 옛날에는 동쪽 비탈에도
여러 종류의 나무가 있었을 거야.
다만, 그 나무들은 가지를 구부릴 줄 모른 탓에 폭설이 내릴 때마다 전부 부러지고 무너져서
결국 사라진 게 아닐까?"

남편은 말없이 고개를 끄덕였다.
잠시 후, 두 사람은 뭔가를 깨달은 듯 마주 보았다.
그리고 벅찬 감동을 느끼며 서로를 꼭 끌어 안았다.

외부에서 압박이 오면 견딜 수 있는 만큼은
견뎌 보아야 한다.
그러나 더 이상 견딜 수 없는 순간이 온다면,
그때는 구부러지는 쪽을 택해야 한다.

히말라야 삼나무처럼
한발 양보할 줄도 알아야 하는 것이다.
그래야 스트레스에 짓눌리거나
부러지지 않을 수 있다.

살다 보면 수많은 스트레스와
필연적으로 직면한다.
이 때, 히말라야 삼나무처럼 몸을 구부리고
어깨 위에 쌓인 부담을 내려놓자.
그래야 부러지는 일 없이
다시금 허리를 곧게 펼 수 있다.

스트레스가 범람하는 오늘 날,
진정한 행복을 얻으려면 때로는 구부릴 줄도, 돌아갈 줄도 아는 지혜가 필요하다.

지나치게 곧은 나무는 부러지기 쉽다.
태풍 속에서도 살아남는 것은
고집스레 곧게 뻗은 큰 나무가 아니라,
바람에 따라 몸을 휠 줄 아는 유연한 나무다.

인생에서도 마찬가지다.
지금 우리에게는 융통성이 필요하다.

상황에 맞게 구부릴 줄도,
펼 줄도 아는 사람은 삶의 어느 순간에서도 즐거움과 행복을 찾아낸다.
~ 어느 분의 글을 전재했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