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v.daum.net/v/20231020222549256
이스라엘·팔레스타인 분쟁 약사
1948.05.14~ 1차 중동전쟁
1952.07 ~ 2차 중동전쟁(수에즈운하전쟁)
1967.04 ~ 3차 중동전쟁
1973.10.06~ 4차 중동전쟁
시오니즘(zionism, 19세기 후반~)
중ㆍ동유럽에 흩어져 있던 유대인들이 팔레스타인에 독립국가를 건설하자는 운동을 시작하였다. 이로 인해 1933년까지 팔레스타인에 23만 8,000여 명의 유대인이 모여들어 아랍인의 반발을 샀다.
밸푸어 선언(1917년 11월)
1차 세계대전 중 영국의 외무장관이었던 아서. J. 밸푸어(Balfour)는 팔레스타인에 유대인의 '민족적 고향(national home)' 건설을 지지하였다. 그러나 영국은 한편으로 1차대전에서 독일 편에 서있던 오스만제국 내의 아랍인들의 반란을 지원하면서 아랍인에게도 팔레스타인을 포함한 독립국가 독립을 약속(맥마흔 선언)하였다. 이처럼 영국은 밸푸어 선언과 맥마흔 선언을 동시에 함으로써 이스라엘-팔레스타인은 물론 중동전쟁의 불씨를 만들었다.
유엔 결의 181호(1947년 11월)
영국의 팔레스타인 위임통치령을 분할하여 유대 국가와 아랍 국가를 창설하고, 예루살렘은 국제 신탁통치 지역으로 만들기로 결정하였다. 이에 따라 이스라엘은 1948년 5월 국가를 수립했으나 아랍인들은 이 결의를 거부하였다.(1차중동전쟁)
6일 전쟁(1967년 4월)
이스라엘은 이집트와 시리아 등에 대해 기습공격을 감행하였다. 그 결과 이스라엘은 이집트의 시나이 반도와 가자지구, 요르단의 요르단강 서안과 동예루살렘, 시리아의 골란고원 등을 점령하였다.(3차중동전쟁)
10월 전쟁(1973년 10월)
이집트와 시리아가 이스라엘에 선제 공격을 가했으나, 6일 전쟁 때 잃은 영토를 되찾는 데는 실패했다.(4차중동전쟁)
이스라엘ㆍ이집트 평화조약(1979년 3월)
미국 카터 대통령의 중재로, 이집트가 아랍국 중 최초로 이스라엘을 국가로 승인하고, 양자 평화조약에 서명하였다. 이에 따라 이스라엘은 이집트에 시나이 반도를 반환하였다.
1차 인티파다(1987~93년)
이스라엘 점령 20년을 맞은 1987년, 팔레스타인인들이 이스라엘의 억압 통치에 대해 투쟁을 전개하였다. 그러나 이 투쟁의 결과 팔레스타인인 1,000여 명이 희생되었다.
오슬로 협정(1993년 9월)
당시 라빈 이스라엘 총리와 아라파트 팔레스타인해방기구(PLO) 의장은 상호 실체를 인정하고 ▷테러 중단과 팔레스타인자치정부 수립 ▷가자지구와 예리코에서 이스라엘군 철수 ▷5년 내 추가 철수 등을 규정한 협정에 서명하였다.
가자·예리코 자치협정(1993년 10월)
이스라엘과 팔레스타인해방기구(PLO) 간에 체결된, 가자지구와 요르단강 서안에 있는 예리코시에 대한 팔레스타인인의 자치에 관한 협정이다.
팔레스타인자치정부 수립(1996년 1월)
오슬로 협정의 결과 요르단강 서안과 가자지구에서의 선거로 팔레스타인 자치의회가 구성되고, 아라파트가 수반에 당선되었다.
와이리버 협정(1998년 10월)
클린턴 미국 대통령과 아라파트 팔레스타인 정부 수반, 네타냐후 이스라엘 총리 간에 '땅과 평화의 교환'으로 불리는 와이리버 협정이 이루어졌다.
2차 인티파다(2000년 9월~)
팔레스타인 최종 지위 협상이 지연되고 이스라엘 강경파 지도자 샤론이 예루살렘 성지를 방문하자 팔레스타인인들은 자살 폭탄 테러 등 극단적인 투쟁 방식으로 저항하였다. 그리고 이에 따라 이스라엘의 무력 진압이 시작되었다.
유엔 안보리 결의 1397호(2002년 3월12일)
팔레스타인을 사상 처음으로 국가로 명시하며, '이스라엘과 팔레스타인 양측이 안전하고 공인된 국경 안에서 공존하는 비전을 지지한다.'고 결의하였다.
사우디 평화안(2002년 3월 28일)
이스라엘이 1967년 3차 중동 전쟁 때 점령한 땅에서 철수하면 아랍 국가들이 집단적으로 이스라엘과 관계를 정상화한다는 내용이다. 사우디아라비아의 압둘라 왕세자가 제안한 새로운 포괄적 평화안을 아랍 22개국 정상회담에서 만장일치로 채택하였다.
중동평화 로드맵 서명(2003년 6월 4일)
미국·이스라엘·팔레스타인은 2005년 6월 4일 2005년까지 팔레스타인 독립국가를 창설하는 것을 골자로 하는 '중동평화 로드맵'에 서명하였다.
11일 전쟁(2021년 5월)
2021년 5월 10일~5월 20일까지 11일간 이어진 이스라엘과 팔레스타인 하마스 간의 분쟁을 말한다. 이는 이슬람교의 공동 성지(聖地)인 동예루살렘에서 벌어진 종교 분쟁, 팔레스타인 자치구 내 유대인 정착촌을 둘러싼 갈등 등이 원인이 돼 일어난 분쟁으로, 2014년 이스라엘과 하마스의 50일 전쟁 이후 가장 피해가 큰 유혈 분쟁으로 기록됐다.
2023년 이스라엘의 제닌 대공습(2023년 7월)
이스라엘군이 2023년 7월 3~4일까지 팔레스타인 무장 세력의 근거지가 있는 것으로 알려진 요르단강 서안지구의 제닌 난민촌에 1000여 명의 병력을 투입해 대규모 공습을 가한 사건을 말한다. 제닌은 1만 7000여 명의 팔레스타인 난민이 모여 사는 곳으로, 해당 공습은 2000년 제2 인티파다(팔레스타인 주민의 봉기) 이후 이뤄진 이스라엘 최대 규모의 군사작전으로 평가됐다.
<이상은 네이버 지식백과 참조>
23.10.21일 오후(대한민국 기준) 이집트에서 개최 예정인 현재의 이스라엘팔레인스타인 전쟁 관련
평화를 위한 회의에 한 당사자랄 이스라엘과 미국은 참석하지 않는다는 뉴스다.
왜 참석을 하지 않을까?
그들이 궁극적으로 원하는 것은 무엇인가?
과연 세계평화를 원하는 것인가
아니면 그들 중심의 평화(?)를 구축하고자 함인지
묻지 않을 수 없다.
이집트 카이로 평화회의(23.10.21) 공동선언 불발
유엔사무총장, 유럽연합, 독일, 프랑스, 영국, 노르웨이, 스페인, 그리스, 키프로스, 일본, 중국, 러시아 등 주로 평화적해결주장
중동.아프리카 바레인, 요르단, 카타르, 쿠웨이트, 팔레인스타인, 이집트, 남아공화국 팔레인스타인 주권보장
이스라엘 불참, 미국은 주 이스라엘 대리대사 임석
https://v.daum.net/v/20231120120450353
'대한민국을 이끌어가는 민초'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이것이정치인이다 (2) | 2023.11.18 |
---|---|
남북 분단 임진왜란에서 시작되다 (동맹의 허와 실) (2) | 2023.10.23 |
윤석열 대통령 과연 언행일치인가? (0) | 2023.10.19 |
알뜰폰 개통 (0) | 2023.10.13 |
대한민국의 자존 (0) | 2023.10.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