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민프로젝트(경제활동)

농민되기 포로젝트1- 농지정리

나는 새 2021. 2. 20. 17:22

칼날부
본체와 중간부 연결된 상태
칼날부 연결잭, 오른쪽 레버를 당기고 칼날부를 삽입 후 왼쪽 검정 손잡이 나사를 조임
엔진오일(2싸이클 전용)과 연료(휘발류)를 주입하고 동그라미안의 갈색버튼을 여러번 압축 연료가 차는지 확인후 작동줄을 당김

농지법에 농민의 정의(아마 2조)가 있는데
그중에 1,000제곱미터의 농지 경작이 있어

소유 중인 밭 660제곱미터와 4 형제 공동명의의
아버지 유택을 임차하여 경작하기로 했다.

33년간 경작을 하지 않아 악성 잡초인 띠,
조그만 나무들이 자라 우선 예초기로 제거한 후
불태우고 한 2주 후 잡초제거용 水性농약을
하기로 결정했다

그 첫 날로 오늘은 예초기를 준비하여
잡초를 제거하고 약 50% 불태우고
양손에 물집이 생겨 도저히 나머진 못 하겠기에
내일 하기로 하고 철수했다.

먼저 혼다 예초기 작동을 위해 주유소에서
2 사이클 엔진오일(오토바이 용) 6,000원에 구입
(일반적으로 우리나라에서 사용 중인
예초기 80%는 엔진오일과 휘발유를
1:5로 혼합 사용), 휘발유 2,000원어치 구매
(법상 난로 등에 주입할 수 있게 주입구와 손잡이
옆에 공기구멍이 있는 유류용 통을 사용하여야
한다 함)

예초기는 연료통에 휘발유, 엔진에 엔진오일을
넣고 연료통 마개 위 쪽의 연료 주입 쿠션을
여러 번 압축하여 공기를 빼고 연료 주입 후
줄을 당겨 작동)

본체 연결은 검정 레버 반대편의 동그란 조그만
것을 당긴 후 날 프레임 연결 후 레버를 돌려
고정하면 됨

잡초를 다 제거한 후 불태우기는 혹시 모를
불상사를 대비해 혼 감당할 정도를 좁게 잡아
그 경계를 벗어날 것 같으면 무조건 갈퀴로 껐다
다시 하길 5회 반복 해 약 50% 하였다.

 

남은 50%는 20일 하기로 하고 미리 계획선 부위에 물을 뿌려

불을 관리할 수 있게 하여야 겠다.

 

출발할 때는 너티브 업로드를 위해 동영상을 준비할려 했는데

작업을 시작할 땐 그 생각을 깜빡하고

집으로 향할 때에야 되살아나 집에서 예초기만 컷 했다.

 

2.21. 작업 준비물: 불을 끌 때 갈퀴러 두두려 끔, 번지지 말라고 경계선 주변에 살포할 물과 뿌리개

21일 일요일엔 바람이 많이 불어 잘려 쌓여 있는 잡초만 어제 불태운 곳으로 옮겨 태우고

나머진 그냥 2주 후 제초제를 살포하기로 했다. 

'농민프로젝트(경제활동)' 카테고리의 다른 글

농민되기 프로젝트3- 유실수 심기  (0) 2021.03.22
농민되기 프로젝트2- 띠풀 제거 농약 살포  (0) 2021.02.24
17년의 농사  (0) 2017.04.16
2016년의 작품  (0) 2016.10.10
16년의 농사6  (0) 2016.09.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