千山大學敎

138-3 무등산(변곡점으로 하자)

나는 새 2017. 12. 23. 19:50

 

 

 

 

 

 

 

 

 

 

 

 

 

 

 

매주 토요일 가는 고등학교 동기 산안회에 나가 광주 무등산의

옛길2구간 코스로1040부터 시작하였다.

 

원효사 주차장에 도착하여 원효사, 서석대 중 해발 846미터까지

갔다가 출발 전 아이젠을 챙긴다는 것이 깜빡해 그냥 갔는데 아무래도 불안하여 홀로 하산을 시작하였다.

 

내려와 원효계곡의 백미랄 수 있는 수목원 식당 옆으로 가니 바윗돌 사이 작은 폭포를 만들며 흘러내리는 물의 흐름과 소리에 나뭇사이를 비추는 태양의 조화가 멋졌다.

 

무등산가자란 식당에서 닭도리탕에 옻오리백숙 물 3/4대접, 무등산막걸리 약 2개를 마셨다.

 

이 무등산행을 계기로 나의 인생표현 변곡점으로 삼기로 하였다.

 

주차장에 도착 접이식 돋보기를 사용하려 꺼내보니 왼쪽 알이 빠져있어 이 무슨 계시일까 하였다.

조심하라는 뜻이였음을 느꼈음에도 20시경 전날 밤 1시간여 밖에 못 자 피곤한 몸을 침대에 뉩고 나니 보이차를 마신 영향의 작용까지 작용하여 머리에서 땀이 흐를 정도로 술을 마시기 전부터 몇가지 해서는 안 되는 언행형이 있었음이 생각 났다.

 

첫째는 846미터 고지에서 하산 중 같은 팀으로 3주간 독일유학연수중 보직변경의 축하전화를 받고 이행이 쉽지 않은 복귀 2018.1.2. 이후 한번 세종에 가겠다는 것이였다. 그 땐 가기가 쉽지 않을 것이란 생각없이 왜 그런 대화를 했을까?

 

둘째는 안경을 쓰지 않고 근무할 당시 사이가 좋지 않던 한국건설산업연구원장 생일 카톡 안내를 받고 축하인사를 보낸다고 "일일 축하^^ 늘 행복이 가득..."이란 문구의 케익 사진을 보냈는데 이는 동일 레벨이하에게 보낼 수 있는 문구이였음이 보여 19시가 지나 사실상황을 설명하고 죄송하다 다시 톡을 보내니 생체기는 남겠지만 다행히 답신을 받았다. (위 2건은 지우자는 마음으로 지웠다)

 

세째는 술 마시고 동기들과의 대화, 행동. 모습으로 졸업후 시의원 출마하겠다니 나올려면 시장이나 국회원 나와야지 시의원은 나오지 마란다. 그렇지 않아도 ㄱ종ㅎ이 시장출마한다 했는데 친구들이 말렸다는 말까지 하며... 이런 저런 이야기를 더 진행시킨 후 결론적으로 30만의 익산에서 젤 나이 많은 사람으로 남겠다고 했던 것이다.

 

네째는 김현호가 주차장 경계의 플라스틱체인을 넘다 체인이 끊어져 그 옆에 것을 보란 듯이 끊어지지 않게 밟았다. 당근 끊어지진 않았는데 이를 보고 젊은 관리친구가 잘 못을 지적함이다.

 

다섯째는 오는 차속에서 창문을 열고 오픈카식으로 몸의 1/5은 내논 것이고

 

여섯째는 정읍휴게소 직전의 고속도로 위 철도교(과선교) 난간의 한국철도공사 표시를 보고 대한민국의 약호는 한국이 아니라 대한이란 평소의 생각으로 "@대한철도공사♡"란 문구를 페북에 올렸음이다. 2030경 내렸다.

 

일곱째는 오배회 동기부인들(오백영원회-내가 붙여 준 명칭)이 오백회(오리지널배수동기회) 회원 내년 일월 2박3일(목,금,토) 오대산 가면 천안 가자는 의견에 금욜에 내가 점찍으러 천안에 가겠다 했음과 정명이 차로 집에 오며 2017년 송년산행인 다음산행(30일) 나가겠다고 확답했음이다(다행히 정명이네는 더 중요한 계획이 있어 못 나온다 했다. 그 때 상황 봐서 결정하자)

 

그러고 나니 과연 내가 "과장"롤을 할 준비가 되었나라는 생각에 그제 영원지기에게 100% 장학생을 받아 주면 원광사이버대학교 원불교학과를 내년부터 다니겠다 말한 생각까지 할 수 있을까?에 머리에서 땀물이 줄줄흘렀다.

 

걸국 지금 나는 2017년 12월 23일 무등산 원효사 코스 산행을 계기로 나의 언행형에 대한 변곡점으로 삼겠다는 각성을 삼기로 했다.

 

유진성! ! ! ! ! ! ! ! !(내가 좋아 하는 숫자 9를 생각하며 느낌표 아홉개를 결심의 표시로 남긴다.)

 

PS 무등산가자 간판의 구. 우래옥의 "우래"는 포털을 검색해 보니 "대문"의 뜻이라 나온다.

'千山大學敎' 카테고리의 다른 글

140산 미륵산(통영)  (0) 2018.02.19
139산 송공산(압해도)  (0) 2018.01.06
138-2산 고창읍성  (0) 2017.11.25
138산 대아수목원, 138-1산 두륜산  (0) 2017.11.04
137산 장수 장안산, 137-1산 미륵산  (0) 2017.10.14